『파친코』, 이민진 지음, 이미정 옮김, 문학사상, 2018. |
교회 젊은 집사님들의 대화 속에서 얼핏 무슨 소설이 재미있다는 얘기가 귀에 들어왔다. 책 내용이나 제목도 알지 못한 채 무조건 빌려달라며 책 읽는 순서에 나를 올려놓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한 집사님에게서 두툼한 두 권의 책을 받아들었다.
일단 책 표지가 흥미로웠다. 제목이 '파친코'라니···. 교회 오락 시간에 등장하는 네 박자 게임이나 인간관계 훈련을 위한 인간 보물 지키기 같은 놀이에는 '게임의 여왕'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자신 있지만 다른 게임은 그것을 운영하는 머리가 도통 없다. 그래서 관심도 없는데 이 기회에 파친코에 대해서 알게 되려나 싶었다-하지만 파친코하는 방법은 전혀 소개되지 않는다. 기대하면 실망한다.
표지에서 또 하나 눈길을 끈 것은 지은이 이름이다. 이름이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흔히 볼 수 있는 우리네 이름 석 자인데 옮긴이가 따로 있다. 표지를 넘겨 저자 이민진은 일곱 살에 미국 이민을 한 한국계 1.5세라는 소개가 보였다. 지은이에 대한 이 한 줄의 설명은 책 전체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이며, 소설은 영문으로 쓰였고 한국어로 번역이 된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일제 강점기에서 현대(1910~1989)를 아우르면서 어느 재일동포 가족사의 애환을 그려낸다. 작가가 한국계 미국인이기에 이민자가 느끼는 감정을 세미하게 표현하는 부분이 있다. 우리 가족도 미국에서 조금 보태어 15년여를 사는 동안 문화와 언어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과 익숙해짐, 삶에 어떤 식으로든 변화를 가져오는 제한과 기회를 겪고 있다. 그렇다 보니 책 속의 주인공 순자 혹은 선자-번역 오류인지 편집 오류인지 주인공 이름이 두 가지로 나온다-의 가족에게서 나의 경험과 겹쳐다가 얼른 비껴가는 장면을 곳곳에서 만나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에 시대극을 보는 것처럼 상황이나 정서의 동화가 쉽게 이루어진다. 선자 가족은 부산 영도에서 시작하여 일본으로 건너가 대부분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일본은 가까운 이웃이라기보다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태생적(?) 감정이 앞서는 나라라서 관심이 그다지 많지가 않았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그 나라에도 여전히 나의 동포가 살고 있다는 사실이 마음에 다가왔다.
한편 아쉬운 마음도 여전히 남았다. 선자 가족이 겪는 병이나 고문으로 인한 죽음에 대한 절절한 슬픔, 역사나 사회 구조에 대한 분노, 인물들 간의 해결되지 않는 갈등 따위를 파고들기보다는 견디고 지나가는 쪽으로 전개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도 저자의 의도가 있을 테지만 재일동포에 대한 이해가 넓지 않아 그런지 그들의 더 나은 미래가 그려지지 않았다.
책 읽기를 마치는 즈음 재일동포가 당하는 차별과 증오가 '이민자의 나라, 자유와 기회의 땅' 미국에서도 뿌리 깊음을 알게 되는 사건들이 전해졌다. 3월 16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로버트 애런 롱에 의한 총기 난사로 한국 여성 4명을 포함하여 8명이 사망하였다. 아시아계 미국인이 운영하고 직원들이 아시안인 업소를 골라 계획적인 살인을 저질렀는데, 아직 공식적으로 인종 혐오 범죄라고 조사 결과가 발표되지 않은 상태다. 3월 29일에는 건장한 노숙자가 맨해튼 거리에서 65세 아시안 여성을 폭행하는 CCTV 영상이 뉴스에서 보도되었다. 정말 헉, 하고 말문이 막히고 내가 당할 수도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니 두렵기까지 한 영상이었다.
이런 일련의 일들로 미국 곳곳에서 혐오 범죄를 멈추라는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계 차별과 폭력 방지를 위한 전담반을 운영하고 그것에 필요한 4천950만 달러의 기금도 마련하도록 조치했다.
다시 나의 자리로 돌아와 이민자로서 더 나은 삶에 대해 상상해 보았다. 『파친코』에서는 겉으로 보기에는 담담하나 내적으로는 치열한 일상을 살아가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선하고 당당한 개개인에서 개인에게 의미를 부여하고 서로 보듬으며 살아가는 공동체로 나아가는 그림을 그렸다 지웠다 반복한다.
*이 글을 수정하여 모바일 앱 '바이블 25'와 인터넷신문 '당당뉴스'에도 실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