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2023

징검다리

 



앨라배마주에 있는 공립학교에서 한국어를 정식 교과과정으로 채택하고 학점을 주도록 하는 제도를 만드는데 이바지한 단체가 있는데, 바로 에이킵(A-KEEP: Alabama-Korea Education and Economic Partnership)이다. 에이킵은 2017년부터 지금까지 공립학교에서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가르치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나는 에이킵과 다른 일로 관계를 맺었는데 어느 날, 에이킵의 한 대표님은 내가 지난날 한국학교에서 가르친 경험과 책 한 권을 쓴 걸 경력으로 인정하셨는지 한국어 교사를 제안하셨다. 하지만 나는 한국인이 아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클럽이라 영어 실력이 어눌해서 못하겠다고 거절했다. 그랬더니 대표님은 한국어를 90%, 영어를 10%만 사용하는 것이 한국어 교실 규칙이라며 잘 할 수 있다고 마구 격려해주셨다. 언젠가 이민 1.5세나 2세 한인 학생을 가르치는 한국학교에서 미국 학생 한 명을 같이 가르친 적이 있었는데 영어를 더 잘하면 좋겠다 싶었던 아쉬운 기억이 떠올라 그 규칙을 반신반의하면서도 미국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색다른 경험에 대한 호기심을 누르지 못하고 대표님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리하여 몽고메리에 있는 한 매그넛 중학교 방과후 클럽에서 일주일에 한 시간씩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매그넛 학교는 학업의 질을 높이고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뽑는다. 그리고 클럽은 자신의 관심 분야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니, 이런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내가 맡은 학생들을 가늠해보자면 한국어를 배우려는 자발적인 의지를 가진 아이들이다. 실제로도 지난 학기에 그들은 수업에 집중했고 대체로 성실하게 출석했다.

지난 가을, 수업을 시작하면서 아이들이 한국어에 얼마나 노출되어 있는지 알아야 했다(에이킵은 현재 한국어 표준 교과과정을 만드는 중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그중 몇 명은 초등학교나 여름 캠프에서 한국어를 배운 적이 있었고,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 대부분은 한국 문화와 언어에 관한 관심이었다. 더 나아가 나이가 들어 한국으로 이사하고 싶다, 한국인 친구와 대화하고 싶다, 한국으로 유학 가고 싶다, 는 눈에 띄는 이유도 있었다. 

케이푸드(K-Food)를 못 먹어본 아이들이 많았지만, 한국에 가면 음식을 먹어보고 싶다는 응답이 꽤 있었다. 케이팝(K-Pop)이나 케이드라마(K-Drama)를 듣거나 시청한 아이들은 거의 다였다. 특히 방탄소년단과 블랙 핑크의 노래나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적은 것을 보고 아이들이 나보다 최근 유행하는 한국 노래나 드라마에 더 가까이 있는 것 같았다. 그렇다 보니 한국에서 가보고 싶은 곳으로 서울(서울 타워, 명동), 제주도, 부산을 언급한 것이 놀랍지 않을 정도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나는 케이팝이나 케이드라마를 시청한 적은 있으나 한국어를 배워본 적이 없는 학생들을 기준으로 삼아 가르치고 있다.

올 봄학기 첫 수업 시간, 몇 년 동안 비닐에 싸여 옷장에 고이 걸려 있던 내 한복을 꺼냈다. 몇 안 되는 남자아이들을 위해서는 아들의 생활한복을 챙겼다. 아이들에게 설날을 소개하기 위한 준비물 중 하나였다. 떡국이나 연날리기는 사진으로 보여주더라도 세배할 때 입는 한복을 직접 입어보면 설날을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아이들은 '한복'이라는 단어를 정확하게 발음할 뿐 아니라 모두가 한복을 입어보길 원했고 한복 입은 모습을 서로 사진 찍어주며 즐거워했다. 지난 학기에는 추석 명절이 끼어 있어서 제기차기, 투호, 강강술래 놋다리밟기를 체험하도록 도왔다. 한국 음식을 소개하면서는 떡볶이와 김치를 가져가 직접 맛을 보여주었다. 아이들이 '매워요'라는 맛 표현을 확실히 익히게 될 줄이야. 

처음에는 수업의 모든 내용을 한국어로만 하다가 클럽은 흥미로워야 할 것 같아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아이들이 한국어 배운 것을 쉽게 잊어도 모국어가 아닌 언어를 배우는 어려움을 잘 알기에 그들을 너그러이 받아들인다. 그다지 길지 않은 시간 안에 아이들이 서툴더라도 한국어로 말하는 모습을 보여줄 때면 그들의 언어를 습득하는 능력에 놀라고 한편으로는 흐뭇하기 그지없다. 


이 중학교에서는 한국어 정규과정이 새학년을 시작하는 올 가을학기에 열릴 수도 있다. 아이들이 정규과정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그들을 위해 징검다리를 놓아주려 한다. 내가 마련한 징검다리를 아이들이 재미있게 딛고 지나가면 좋겠다.

*이 글은 애틀랜타 중앙일보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