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셀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셀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9/30/2024

깊고 긴 호흡


@구글 이미지


이웃집 결혼식 잔치에 가야 해서 머리를 깎기로 했다. 뉴올리언스에 있는 미용실 방문은 처음이었다. 주변 사람들에게서 얻은 정보에 의하면 한인 미용사가 있고, 한인들이 즐겨 찾는 베트남 미용사가 있다. 나는 한인 미용사에게 먼저 가보기로 했다.

한인 미용사, J 카톡으로 연락이 되었다. 나는 카톡에서 J 프로필 사진을 열었다. 굵은 물결 무늬의 머리카락과 윤이 나는 머릿결은 헤어 디자이너답다고 생각했다. 짧은 머리 커트할 약속 시간을 정하고 미용실의 이름도 알아 두었다.

오전 10 예약시간에서 15 전쯤 미용실에 도착했다. 월요일 아침이라 손님이 많지 않을 거라는 예상과는 달랐다. 이미 머리를 깎고 있는 사람들과 대기 중인 사람들. 보행보조기를 의지한 할머니와 목발을 짚은 할머니가 들어오셨다. 연세 많으신 할머니들과 푸석한 얼굴을 아저씨들이 애용하는 오래된 동네 미용실 느낌이 들었다.

넓은 공간에서 명의 미용사가 머리를 깎고 있었다. 카톡에서 J 보이지 않았다. 미용사들이 나를 흘깃흘깃 보더니 아무도 아는 척을 해주지 않아 대기석에 자리를 잡았다. 미용실 안에 한인은 나뿐이고, 분위기가 어색했지만 최대한 자연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마치 단골손님인 것처럼.

미용사가 자기 손님을 보내고는 눈짓으로 나의 주의를 끌더니 이름을 물었다. 나는 이름을 알려주고 그가 묻지도 않은 말도 덧붙였다. J에게 예약을 했다고 말이다. 나의 상황을 이해해 달라는 마음이었나 보다. 그는 아무 대꾸도 없이 컴퓨터만 두드리고 자기 자리로 돌아갔다.

나는 J 아직 출근을 했거나 미용실 어딘가에서 다른 일을 하고 있을 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예약 시간이 살짝 지났다. 내가 미용실에 있다는 것을 카톡으로 알리는 것이 좋을 같았다. 안녕하세요. 미용실에 까지 글자를 입력하다가 그만 두었다. 급한 일도 없는데 만남에서 인내심 없는 사람으로 보이고 싶지 않았다. 셀폰 화면을 끄고 대신에 깊고 호흡을 반복했다.

마음이 차분해지자 미용사들 아시안으로 보이는 사람이 혹시 J인가, 의아했다. 나는 J 카톡 프로필 사진을 다시 펼쳤다. 사진 , 미용사 얼굴 , 찬찬히 살펴보아도 J 아니었다. 미용사의 분위기로 보아 베트남 사람 같았다.

1975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남베트남이 패망하면서 거기에 살던 사람들이 미국으로도 이주했다. 뉴올리언스는 베트남과 기후가 비슷하고 바다와 인접한 곳이라 그들이 정착할 만한 곳이 되었단다. 그들 커뮤니티가 점점 커져서 지역 사회에서 그들을 찾아보는 것이 어렵지 않다. 뉴올리언스에 베트남인이 많다는 이유가 아시안 미용사를 그들 사람으로 짐작하게 했다.

아시안 미용사도 그의 손님을 보내고는 컴퓨터 화면을 바라보며 이름을 불렀다. 나는 그에게 인사를 건네고 J 기다리고 있다고 다시 덧붙였다. 그는 담담한 얼굴로 자기가 J라고 말했다. 미용실에 J 둘인가? 아주 잠깐 헷갈렸다. 그래서 나는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혹시 한국인이세요? 그는 , 라고 대답했다. 우리는 그때까지 영어로 말하고 있었다.

안녕하세요! 목소리에 공손함을 담아 한국말로 인사를 건넸다. J 여전히 무표정한 얼굴로 내가 앉을 자리로 안내했다. 앞에 있는 커다란 거울로 J 얼굴을 다시 살펴보았다. 사진에서 얼굴이 찾아지지 않았다.

, 카톡 사진과 달라 보여요 말이 처음 만난 사람에게 실례인 알면서도 물어보지 않을 수가 없었다. 실수의 정도를 줄이기 위해 호흡을 길게 하며 말끝을 흐렸다. 나의 질문이 재미있다는 J 곡선이 부드러워졌다. 사진 십몇 사진이라 그래요. 그리고 남편이 베트남 사람이라 한국말을 많이 잊었어요. 묻지도 않은 말을 덧붙이는 J 나와 비슷했다.

머리 깎는 내내 우리는 자신을 소개했다. 그는 오래전 뉴올리언스로 이민와서 처음 다녔던 교회가 지금 내가 다니는 교회라고 알려주었다. 이야기를 나눌수록 우리의 연결점이 많아졌다. J 영어 억양은 그대로라도 한국말로 점점 길게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이 글은 애틀랜타 중앙일보에도 실렸습니다.

3/12/2010

셀폰의 옆모습을 바라본 순간

<그 날 밤을 재현해 보았습니다. 호호호>

지난 주 화요일쯤인가요.
늦은 저녁, 소파에 앉아 TV를 보고 있다가 바지 주머니에서 셀폰이 빠꼼히 옆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마지막으로 가지고 있던 셀폰은 삼성 제품으로 검은색 슬라이드형이었습니다.
이동통신 회사를 바꾸어 새로 가입하면 쓰던 번호는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 조금 유행이 지난 모델의 셀폰을 거저 주는 행사 때 바꾸었던 것입니다.
그 때 받은 셀폰이 유행이 지났다고는 하나, 한국 셀폰은 새 모델이 빨리 빨리 나오기 때문에 출시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이었습니다.
그 셀폰의 단순한 외형, 편리함-계속 삼성 제품만 사용했으므로 사용방법이 거의 비슷해서-, 글자체, 다운받아 깔아놓은 벨소리와 통화연결음 따위가 제가 썼던 셀폰 가운데 제일 마음에 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 오느라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놓고 오게 되었습니다.

미국에 와서는 셀폰을 구입하려면 재정 상태에 대한 크레딧이 있어야 하는데, 아무 기록이 없으므로 셀폰을 살 수가 없었습니다.
처음 두 달 정도는 남편이 출근하면 바깥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가 없었습니다.
늘 사용하던 집전화나 셀폰도 없고, 어딜 갈 수도 없고요.
사실 요즘도 어쩌다 보면 하루에 한 통화도 안 하는 날도 있는데….
하긴 언제든 전화하고 싶으면 할 수 있고, 차를 타고 나갈 수도 있게 되었으니 심정적으로 갑갑함을 느끼지 않기 때문인가 봅니다.
그런 상황을 아신 어느 권사님께서 어찌어찌 하여 셀폰을 한 달 동안 빌려주셨는데 숨통이 트이는 것 같았습니다.
이곳에 정착하는데 참 여러 가지 도움을 많은 분들에게 받았습니다!!!

한 달이 지나 권사님께 셀폰을 돌려드리면서 남편은 저의 셀폰을 마련해 가지고 왔습니다.
참 사람 마음이 이상하죠?
셀폰이 생긴 것만으로도 기뻐해야 하는데, 새 셀폰을 받아들고 이리 보고 저리 돌려보아도 모양이며 색깔이며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 셀폰에 정이 들만도 한대, 그걸 볼 때마다 공짜로 받아서 얼마 쓰지도 않은 한국 셀폰이 자꾸 생각이 났습니다.
될 수 있는 대로 빠른 시간 안에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마음을 편안한 쪽으로 가닥을 잡는 편인데, 새로운 셀폰에 대해서 만큼은 제 마음도 맘대로 되질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지난 주 어느 날 늦은 밤에 바지 주머니를 비집고 나와 있는 셀폰의 옆모습을 무심코 내려다보게 된 것입니다.
셀폰을 바라보는 몇 초 아니 순간 저는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차분한 듯 세련된 은색의 몸체와 버튼과 선들. 내 셀폰이 이렇게 세련되었었나. 이런 훌륭한 셀폰을 나 같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다니, 이런 제품을 사용해봤으니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
저도 모르겠습니다.
맘에 들어 하지 않던 셀폰을 보고 이런 과장된 듯한 생각을 왜 했는지….
셀폰에 두었던 눈길을 거두고 잠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별 시답지 않은 소리가 될는지 모르겠으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조금 달라진 것 같습니다.
오래 오래 살아서 적어도 강산이와 같이 할 수 있는 시간이 조금이라도 길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무슨 말을 하다가 남편이 나이가 많지(?) 않아 죽게 된다면 담담히 받아들이겠노라 한 적이 있습니다.
저는 무슨 뜻으로 그렇게 말하는지 알 듯도 하면서 무책임하고 허황된 얘기라고 면박(面駁)을 주며 귓등으로도 듣지 않았습니다.
10년 전쯤 대장암으로 수술하신 어머님과 엄마가 얼마나 힘들게 그 병을 이기며 살아오셨는지 알고 있으면서 그런 말을 하는 남편을 보면서 철이 없는 것인가 싶기도 했다니까요.(영양제-Fe-를 잘 안 챙겨 먹어서 그런가??? ㅋㅋㅋ)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남편이 말하던 대로 강산이는 강산이의 삶이 있는 것인데, 제가 오래 살아야 될 이유를 강산이의 삶에 기대어 찾을 것이 아니로구나, 는 것입니다.
이것은 머리로는 그렇다 여겨도 마음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던 것이었는데, 그날 밤 날숨과 함께그런 마음이 찾아왔습니다.

그리고 맘에 들든 그렇지 않든 셀폰을 비롯하여 지금 누리며 살아가는 것이 많으므로, 감사한 마음에 죽어도 아쉬울 것이 없다고 여겼나 봅니다.
늘 감사해도 이렇게 까지는 아니었는데….
이런 마음은 자꾸 더 가지고 싶고 안주하고 싶은 마음의 반작용인지도 모르겠습니다. *^^*

또 하나는 죽음이라는 것 자체가 그리 흔쾌한 느낌이 아니었는데 그저 삶의 일부려니 싶으면서, 주님은 참 대단하시구나 했습니다.
죽음이 끝이 아니라 다시 살아나셔서, 주님께서 사랑하시는 이들과 함께 하시니 말입니다.
이미 주신 것에 죽어도 좋을 만큼 감사하다면, 건강하게 열심히 살아 주님께서 기뻐하실 행복한 모습 보여드려야지요.

지난 주 어느 늦은 밤의 생각들을 그냥 접어두려다가 자꾸 떠올라 정리를 해보긴 했는데 꿈보다 해몽인 것 같기도 하고 뭐, 그렇습니다.

“주의 인자가 생명보다 나으므로 내 입술이 주를 찬양할 것이라 / 이러므로 내 평생에 주를 송축하며 주의 이름으로 인하여 내 손을 들리이다”(시편63:3,4)